≣ 목차
장애인 하이패스 감면 신청 방법
장애인 하이패스 신청 방법, 알고 나면 어렵지 않다
하이패스는 고속도로를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시간과 요금을 아끼게 해주는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특히 장애인 대상 하이패스 감면 제도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통행료의 50%까지 할인받을 수 있어 많은 분들이 찾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신청 절차가 복잡하다고 느껴 망설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실제로 주변에서도 "이걸 어디서 신청해야 하냐"는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장애인 하이패스 감면 대상 요건
먼저, 감면 대상자가 되기 위해선 아래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 통합복지카드 소지자여야 하며, 카드에 하이패스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함
- 본인 소유 차량이거나, 가족이 함께 사는 세대원의 차량일 것
- 하이패스 단말기가 차량에 장착되어 있어야 함
- 만 14세 이상이며, 본인 명의의 휴대전화 보유자
만약 만 14세 미만이거나, 휴대폰이 본인 명의가 아닌 경우에는 온라인이 아닌 오프라인 신청만 가능합니다.
신청 가능한 할인율
하이패스 감면 등록을 하면 고속도로 통행료에서 5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행료가 6,000원이라면 3,000원만 결제됩니다. 연간 고속도로 통행료가 100만 원에 달하는 경우, 절반인 50만 원을 절약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온라인 신청 방법 (본인 명의 휴대폰이 있을 때)
- 하이패스 홈페이지 접속
- '감면 대상자 통합복지카드 신청' 메뉴 선택
- 본인 인증: 휴대폰 인증과 ARS 인증 두 단계
- 차량번호, 단말기 번호, 통합복지카드 번호 입력
- 신청 완료 후 알림톡 또는 문자로 결과 수신
홈페이지를 통한 신청은 평균적으로 5~10분 내외로 완료되며, 승인 결과는 보통 1~2일 이내에 안내됩니다.
감면이 안 되는 경우 주의사항
최근에는 하이패스 단말기에 통합복지카드를 삽입하지 않아도 감면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감면이 거부됩니다.
- 차량에 등록된 본인이 직접 탑승하지 않은 경우
- 위치 정보(GPS)가 꺼져 있거나, 감지되지 않는 경우
- 등록된 차량이 아닌 다른 차량을 운전했을 경우
따라서 감면 등록은 1인 1 차량 기준으로, 본인이 실제로 탑승하는 차량에 한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점도 꼭 유의해야 합니다.
장애인 하이패스는 혜택이 분명하고 신청도 비교적 간단합니다. 하지만 조건을 정확히 알고 신청하지 않으면 감면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통합복지카드의 하이패스 기능 여부, 본인 명의 휴대폰 보유 여부, 차량 소유관계는 꼭 확인하고 진행해야 합니다.
하이패스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라면 연간 수십만 원의 통행료 절감도 가능한 제도이니, 해당 조건이 맞는다면 꼭 신청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